FFT2 Python의 FFT, 평균화(averaging), 평활화(Smooth) 오디오의 FFT 오디오의 주파 수축 정보를 알아보기 위해서 FFT를 사용합니다. 이글에서는 Python을 이용해서 wav 음악 파일의 일부를 읽어서 FFT의 결과를 그래픽으로 표시해 보겠습니다. 동시에 octave 조건을 이용해 보겠습니다. 평활화 주파수 축의 결과가 주파수에 따라서 신호의 크기 변화가 크기 때문에 유의미한 신호의 특성을 얻기가 힘듭니다. 그래서 특정 주파수를 기준으로 주변의 신호들과 평균을 내고 이를 대표해서 표시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이를 평활화(smooth)라고 합니다. 평균은 다른 글의 내용을 참조해 주세요. 평활화는 주로 옥타브 단위로 주변의 신호를 평균 내서 화면에 표시합니다. 아래의 코드에서 평활화 없는 FFT 결과, 1 oct로 평활화 그리고 1/3 oct로 평활화한 결과를.. 2021. 9. 28. FFT와 윈도우 오디오 신호에서 주파수 정보를 보기 오디오 신호의 특성을 시간축에서 보다 주파수 축에서 알아보는 것이 더욱 편리합니다. 즉 주파수별로 신호의 크기와 위상의 특성으로 오디오가 어떤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봅니다. 이를 위해서 다른 글에서 약간 설명한 푸리에 변환을 사용합니다. 또 현실적인 내용으로 푸리에 변환을 적용하도록 도와주는 각종 윈도우에 대해서도 알아 보겠습니다. 이 윈도우는 디지털 필터를 만들때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특성과 종류를 알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푸리에 변환과 주파수 해상도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은 시간축의 신호를 주파수 축의 정보로 변환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이는 $f(t)$가 연속적인 신호 즉 오디오 신호에 적합한 변환 방식입니다. $$.. 2021. 9. 16. 이전 1 다음